하중역세권, 큰 그림으로 역세권 개발사업을 지켜봐라
하중역은 2018년 상반기 개통예정인 소사~원시선 역들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역사 목록을 보면 하중역이 빠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건 하중역이 2018년도에 개통되지 않고 신현역과 시흥시청역 사이에
개발 여건에 따라 역사 설치가 예정되어 있는 역이기 때문입니다.
동시개통이 아니기 때문에 하중역이 정말 설치될 것인지 의문을 가지는 사람들이 있는데,
하중역은 소사~원시선 기본계획에 반영되어 있고, 수요가 충족될 때 건설될 예정이지만
기초 노반 공사까지 마무리 한 상태로 소사원시선이 개통되기 때문에
하중역 설치에 대한 의문을 가질 필요가 없습니다.
http://www.joongboo.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190858
http://news.joins.com/article/21956651
http://www.sh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20127
하중역이 들어설 것이다만 보고 하중역세권 개발사업을 이야기 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하중역 주변 상황을 본다면 하중역은 물론이고 하중역세권 개발 사업까지
흘러가는 내용을 알 수 있습니다.
먼저 시흥 행정타운 잔여지구에 대해서이야기 해야합니다.
행정타운 잔여지구는 하중역세권 개발사업을 염두하고
주거를 목적으로 3대가 공유하는 실버타운을 조성하는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하중역에서 300~400m가량 떨어진 지역으로
하중역 앞 농지를 지나서 진행하게 됩니다.
이 사업으로 하중역에 고정 유입인구가 늘어날 것으로 보이고,
하중역 개발 사업을 앞당기는 역할을 할것으로 보입니다.
http://go.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1115500148&wlog_tag3=naver
이 사업을 보고 하중역세권 사업을 바라보면 역세권 개발 사업의 방향을 알 수 있습니다.
먼저 시흥시투자설명회 배포자료에서 나왔던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하중역세권 예정지역 환경평가 2등급, 제척 이 2가지 단어가 큰이슈를 만들었습니다.
이 두가지 이유로 하중역세권 개발사업은 불가능 하다 라고 이야기가 나온 것입니다.
그럼 이 2가지 이야기를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로 환경평가2등급 지역
이 이야기는 개발보호구역내 환경보전을 위해 1~5등급으로 나누어
1~2등급을 보전지역, 4~5등급을 개발가능지역으로 구분해서 개발유부를 정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내용은 절대치라고 볼 수 없습니다. 개발이 필요한 지역에는 개발제한을 풀어서
개발하는 것이 일반적인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서울주변 신도시를 개발할때 그린벨트를 풀고 개발을 진행한 것을 알고 계실겁니다.
그런 것처럼 개발이 필요한 지역이라면 개발제한을 풀고 개발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환경평가 등급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두번째로 제척에 대한 내용입니다.
제척은 일반적으로 제외, 배제 의미로 사용합니다.
하중역 앞 하중역세권 예정지에 제척이라는
단어를 사용해서 역세권 개발이 되지 않을것이다고
보시는데, 그것은 역세권 지역에서 제외 된것이 아니라
행정타운 잔여지구 개발지역에서 제척되었다는 이야기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
하중역을 중심으로 하중역에서 먼 곳에 행정타운 잔여지구 거주 목적으로 개발하고,
잔여지구 거주자들의 소비생활을 위해서 하중역 앞을 하중역세권 개발을 하기 위해서
지도에서 제척시킨 것입니다.
역세권 개발은 TOD(대중교통지향형)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역사 앞에 원형토지로 두고 멀리 역세권 개발한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습니다.
이런 내용을 종합하면 하중역세권 개발은 하중역 앞 농지에 개발될 것으로 보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time_continue=128&v=LjxfRozRNDY
하중역세권 개발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읽어보시다가 궁금한 점이 생기실 거라 생각됩니다.
궁금한점이 생기시면 언제든 황금 땅지기로 연락주세요.
'역세권 토지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산국제테마파크 재추진 계획 송산역세권의 새로운 반향은 (0) | 2018.03.28 |
---|---|
신안산선 민간개발사 사전적격심사 포스코 통과 (0) | 2018.03.27 |
평택 안중역세권, 2018년 투자가치를 판단 (0) | 2018.01.11 |
인근 마을과 거리가 있는 토지를 볼때는 (0) | 2017.12.08 |
서원주 서원주역세권 토지투자 분석에 대한 고찰 (1) | 2017.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