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지정보기초지식

도시기본계획 지구단위계획 에 관하여

by 황금땅지기 2017. 12. 7.

도시기본계획 지구단위계획 에 대한 내용

 

 

토지투자를 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으로

국토종합계획과 광역도시계획에

내용들을 숙지 해봤다하면 그 다음은

해당되는 지역의 도시기본계획을 검토해 봐야한다

 

인구 10만명 이상의 시.군의

상위의 국토관련 계획에 맞추는것으로

 지방자치단체에서 20년 단위로

계획하는 내용으로 여러가지 상황으로

5년마다 그 계획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 도시기본계획이 확정되면

5년단위로 시착 수립하는데

주거지역부터 녹지지역까지 용도를 배분하고

구체적인 토지에 대한 이용방안을 결정한다

일명 지역개발의 청사진이라고 불리우는

이 계획내용들은 시. 군의 모든 구체적인 내용들을 포함한다

 

 

향후 개발할 토지와

유지하고 보존할 할 토지를 결정하는데

토지투자를 생각하시는 분들은

시가화예정용지를 자세하게 들여볼 필요가 있다

 향후 상황에 따라 용도가 변하면

지가상승의 기회를 포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또한 투자자들의 집중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전반적인 시책에 체크를 하여 계속 이어오는

도시기본계획속에는 명쾌한 투자의

확증이 담겨 있다고 볼수 있다

 

 

지구단위계획은 구체적인 도시기본계획과는

유사하나 더 구체적이면서 체계적인 개발을

도모하기 위한 계획으로 면적의

부지에 대해 수립하는 계획이다

 

지구단위 계획 대상은 공동주택

30㎡ 이상 개발사업 3만㎡ 이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