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기본계획 지구단위계획 에 대한 내용
토지투자를 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으로
국토종합계획과 광역도시계획에
내용들을 숙지 해봤다하면 그 다음은
그 해당되는 지역의 도시기본계획을 검토해 봐야한다
인구 10만명 이상의 시.군의
상위의 국토관련 계획에 맞추는것으로
지방자치단체에서 20년 단위로
계획하는 내용으로 여러가지 상황으로
5년마다 그 계획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 도시기본계획이 확정되면
5년단위로 시착 수립하는데
주거지역부터 녹지지역까지 용도를 배분하고
구체적인 토지에 대한 이용방안을 결정한다
일명 지역개발의 청사진이라고 불리우는
이 계획내용들은 시. 군의 모든 구체적인 내용들을 포함한다
향후 개발할 토지와
유지하고 보존할 할 토지를 결정하는데
토지투자를 생각하시는 분들은
시가화예정용지를 자세하게 들여볼 필요가 있다
향후 상황에 따라 용도가 변하면
지가상승의 기회를 포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또한 투자자들의 집중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전반적인 시책에 체크를 하여 계속 이어오는
도시기본계획속에는 명쾌한 투자의
확증이 담겨 있다고 볼수 있다
지구단위계획은 구체적인 도시기본계획과는
유사하나 더 구체적이면서 체계적인 개발을
도모하기 위한 계획으로 면적의
부지에 대해 수립하는 계획이다
지구단위 계획 대상은 공동주택
30㎡ 이상 개발사업 3만㎡ 이상이다
'토지정보기초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폐율 용적률에 대해 아셔야 합니다. (0) | 2017.12.08 |
---|---|
수요가 많은 토지는 오릅니다. (0) | 2017.12.07 |
도시관리계획에서의 기타용도지역 (0) | 2017.12.07 |
도시계획시설과 도시계획시설 부지 매수청구권 (0) | 2017.12.05 |
농지,산지에 대한 내용 무엇일까? (0) | 2017.12.05 |